서브 컨텐츠
학과탐색
학과명 | 학과소개 | 세부전공 | 미래취업방향 | 유튜브링크 |
---|---|---|---|---|
정치외교학과 |
1952년 설립된 경희대학교 정치외교학과는 우수한 학문적 전통과 긍지를 가지고 있습니다. 우수한 교수진과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바탕으로 국제화, 민주화, 정보화 시대에 걸맞는 창의적이고 능동적이며 전문성을 갖춘 인재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. |
정치사상, 비교정치, 국제정치, 한국정치 |
국회의원, 지방의회 의원, 국회 보좌관 및 비서관, 신문사, 방송사, 여론조사기관, 국제기구, 교수직, 연구직 |
|
행정학과 |
행정학과는 한국에서 행정학과가 처음으로 신설되었던 시기인 1960년에 설립되어 그 동안 행정환경의 변화에 발맞춰 공공성을 바탕으로 비판적, 분석적, 능력을 지닌 인재를 양성해 왔다고 자부합니다. 경희대학교 행정학과 동문들은 국가외 지방자치단체, 공기업, 준정부기관, 일반기업, 법조계, 학계 및 전문직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. |
행정학, 정책학, 법관련 과목 |
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공무원, 공기업, 공공기관, 법조계(로스쿨 진학), 일반기업, 교수, 연구원 |
|
사회학과 |
사회적 존재인 동시에 독립적 존재인 인간은 서로 싸우고, 협력하고, 창조하는 '다중적 인간(Homo Multiplex)' 혹은 '미친 존재(Homo Demens)'입니다. 사회는 급격하게 변하는 전쟁터이자 유토피아를 꿈꾸는 장소입니다. 즉 모순된 것들이 공존하는 '미친 세계'입니다. '미친 세계'와 '미친 존재'를 다루는 사회학은 미칠 수 밖에 없습니다. 그렇습니다. 사회학은 '미친 학문'입니다. |
다양한 사회학, 현대사회이론, 사회통계학 등 |
사회 연구원, 공공기관, 대기업, 여론조사기관, 기자, PD, 언론기관, 국회, 벤처 창업, 금융기관, 사회적 기업, 교육계 |
|
경제학과 |
데이터 분석, 정책 연구 등 다양한 분야의 폭넓은 교육을 제공하고 인공지능, 빅데이터, 기후변화 등의 혁신적인 교과과정 및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다양한 경제 이슈에 민첩하게 대응하는 인재 양성에 힘쓰고 있습니다. 교수진들과 실질적 연구 수행 및 실제 현장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실무 능력까지 겸비한 전문가로의 성장을 적극 지원합니다. |
거시경제, 미시경제, 공공경제, 화폐 및 금융, 계량경제, 경제 개발 |
금융기관, 정부 및 공공기관, 경영컨설팅, 재무 및 마케팅 부서, 국제기구 |
|
무역학과 |
무역학과는 국제무역과 국제금융에 관련된 이론과 실무를 배우는 학과로 글로벌 무역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하며, 세계무역 환경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글로벌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국제수준의 전문 교육과정을 제공합니다. |
기초 (무역학원론, 경제학, 통계학), 응용 (무역 실증 분석, 이머징 마켓 연구, 현장 실습), 심화 (국제통상, 국제재무금융, 무역상무/통상법, 글로벌 비즈니스) |
상사 및 무역회사, 일반기업 및 공공기관, 국제 마케팅 전문가, 교육계 및 연구원, 무역업, 관세사, 공인회계사, 통상정책 담당자 |
|
미디어학과 |
미디어학과는 현대 사회를 이루고 있는 주요 행위자들 간의 의사소통과 정보 및 관점의 공유를 매개해주는 일련의 매체와 (신문, 방송, 광고PR, 인터넷, 소셜 미디어와 멀티미디어 콘텐츠 등) 플랫폼과 콘텐츠가 발휘하는 역할을 다각적으로 탐구합니다 |
광고 및 PR, 데이터 커뮤니케이션, 영상과 대중문화, 저널리즘, 미디어산업, 플랫폼 및 디지털 기술, 휴먼커뮤니케이션 |
저널리즘과 언론, 문화산업, 광고/PR, 방송 등 다양한 미디어·ICT 관련 플랫폼 및 콘텐츠 산업 등 |